의미있는 사진을 만들기 위한 전제조건
예를들어 테크닉이 매우 두드러진 사진과 내용이 강렬해서 개성을 발산하는 두장의 사진
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전자의 작품은 기술에 평가기준을 맞추기 때문에 대부분의 감상자는 쉽사리 같은 평가를 내릴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는 내용상의 의미가 강렬할 수록 사진에 대한 평가가 저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전자의 사진이 우수하다고 평가내릴 수는 없다. 즉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문제인만큼 동일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게지만 후자의 경우는 사진가의 정신적 자세가 문제이기때무에 당연히 공감과 거부 그리고 중립적인 의견 등 다양한 의견이 나올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 현대사진의 푼토는 이 문제를 이분법적인 문제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즉 기술적인 문제와 동시에 직업과정의 개인적인 감정, 그리고 사진가 스스로의 문제의식, 특히 감사자료 하여금 어떤 문제의식을 느끼게 할 것이나 등 여러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진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과 의미를 다른 의미에서 접근하고자 3가지 접근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1. 행동양식의 확립
사진가는 시대의 사진미학에 비추어 자기사진의 표현을 위한 행동양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1)사진가는 자기의 이미지를 확실히 하고 개성적으로 표한하는 방법을 탐구해야 한다
(2)자신의 주변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개인의식이 필요하다(역사.문화)
즉 각 시대에도 그 시대를 사진사조를 대표하는 행동양식이 있었을 것이고 이는
사진가들에 의해 만들어졌고 많은 영향을 주었다
· 스냅(SNAP)미학이란?
· 캔디도 포토(CANDID PHOTO)란?
· 스트레이트 포토(STRAIGHT PHOTO)란?
2. 방법의식에 대해서
대상물에 대대 의식적으로 표현방법을 동원해 개인적인 감정이나 사상을 도입하는 방 법을 중요하게 인식 할 수 있어야 한다
(1)불가시의 세계의 시각화
(2) 새로운 비젼 제시
3. 문제의식에 대하여
대상에 대한 개인적 인식의 문제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
(1)시대적 환상에 대한 의식전환 필요
(2)스스로 자각에 대한 개인적 문제를 어떻게 타자들과 공유할 것인가?
4. 표현과 기법의 다양한 이해
어떤 방법과 목적이든간에 새로움을 추구한다는 것은 늘 힘들고 어려운 길일 것이다. 하지만 피할 수도 방치할 수도 없는 것이 우리들의 입장이라면 차라리 즐기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며 방법이든 문제든 새로운 행동양식으로서의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음 몇가지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카메라 앵글의 특성
(2) 클로즈업의 내향성
(3) 톤의 베리에이션
(4) 프레이밍은 선택이다
(5) 텍스쳐의 묘사력
(6) 몽타즈의 충격성
(7) 렌즈의 시각력
(8) 퍼스펙티브의 특성
(9) 팬 포커스의 공간적 깊이
(10)롱 샤트의 외향성
(11)초점흐림과 흔들림의 효과
(12)캔디드의 미학
(13)세팅에 의한 영상화
(14)시츄에이션의 설정
(15)제작형식의 설정
(16)특수기법의 사색력
(17)빛과 그림자의 존재감
(18)데프로마숑의 표정
(19)우연성의 도입
(20)운동의 표현
(21)기법의 통합
'포토 자료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자외선 차단 필터 (0) | 2018.04.06 |
---|---|
[머니투데이 성연광기자][[성연광 기자의 사진이야기]일출·일몰 사진 멋지게 담으려면?] (0) | 2018.04.06 |
나의 좋은 여행사진 만들기 (0) | 2018.04.06 |
카메라의 노출 (0) | 2018.04.06 |
하늘과 구름 사진촬영 기법 (0) | 2018.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