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자료집

카메라의 노출

妙有 李應鎬 2018. 4. 6. 01:12

카메라의 노출


사진에서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노출이다.


1.노출이란


노출이란 카메라에서 셔터를 열어 필름 또는 CCD에 빛을 주는 것을 노출이라고 한다.즉 빛의 양을 의미한다. 사진을 찍을 때마다 적정 노출을 잡는게 중요하다. 장면에 따라 빛을 어느 정도 주어야 적당한 밝기의 사진이 찍힌다는 계산이 나온다. 카메라에서 노출의 양을 결정하는 요소는 셔터스피드와 조리개의 조절을 통해 노출을 조절한다.


2.셔터스피드


셔터는 카메라에서 필름(CCD)쪽으로 들어가는 빛을 차단하는 장치다. 닫혀있던 얇은 막이 일정 시간동안 열려 있다가 닫혀지게 되는데 이 시간동안 빛이 카메라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 열려있는 시간을 셔터스피드라고 한다. 셔터스피드는 몇가지 단계로 구분되어 있는데 다음과 같이 2배 단위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1(1초), 2(1/2초), 4(1/4초), 계속해서 8, 15, 30, 60, 125, 250, 500, 1000, 2000카메라에 써있는 숫자를 역수로 읽으면 그것이 셔터스피드가 된다. 1초 이상의 셔터스피드는 1", 2", 3" 등의 초 단위를 표시해서 위의 숫자들과 구분한다. 이 셔터스피드를 통해서 빛이 들어가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당연히 시간과 빛의 양은 비례하한다.



3.조리개


조리개는 빛이 들어가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빛이 들어가는 구멍의 크기를 조절해서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조리개가 열려있는 구경에 따라 빛의 양이 조절되는데 조리개가 열려있는 정도를 F값으로 표현한다. F1.4, F2, F2.8, F4, F5.6, F8, F11, F16, F22이 숫자가 작을 수록 구경을 크게 열어놓은 것이고 각 숫자간의 빛의 양은 각각 두 배가 차이가 난다. 예를 들어 F2.8은 F4보다 두 배 더 크게 열어놓은 상태가 된다.



4.셔터와 조리개의 조합


F2.0으로 1/2초 노출한 것과 F2.8로 1초 노출한 사진의 밝기는 똑같다. 조리개를 F2.0에서 F2.8로 한 단 조이면 구멍이 반으로 좁아져서 들어가는 빛의 양이 반으로 줄어든다. 그런데 이때 셔터스피드를 두 배 늘려서 빛을 두 배의 시간동안 받으면 결과적으로 최종 사진의 밝기는 똑같아진다. 같은 경우에 F4에 2초 또는 F2에 1/4초 등 다양한 조합이 나올 수 있다. 이렇듯이 같은 장면을 다양한 셔터스피드와 조리개값으로 선택해서 촬영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선택한 여러가지 설정은 결과적으로 사진의 밝기는 똑같다고 할 수 있지만 사진에 나타나는 효과는 매우 다르다. 우선 셔터스피드의 효과는 움직임을 나타내주는 효과가 있다. 셔터스피드를 짧게 하면 움직이는 장면이 정지되어서 나타나고 반대로 셔터스피드를 길게 하면 움직이는 장면이 흔들린 것처럼 표현이 되어서 움직임을 나타내주는 효과가 있다. 이런 효과는 움직이는 사물을 찍을 때에 나타나고 풍경처럼 정지된 장면에서는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조리개를 열면 초점이 맞은 위치에서 조금만 거리가 벗어나도 흐릿하게 표현이 되고, 조리개를 조이면 초점이 맞은 부분 외에도 앞뒤로 상당히 많은 부분이 선명하게 표현이 된다. 주로 인물 사진을 찍을 때에는 인물을 제외한 지저분한 배경을 날려버리기 위해서 조리개를 열어놓고 촬영을 하고, 풍경 사진을 찍을 때는 선명한 사진을 위해서 조리개를 어느 정도 조여주고 촬영을 한다.



5.적정 노출의 결정


대부분의 자동카메라는 셔터스피드와 조리개 모두를 카메라가 스스로 결정한다. A모드에서는 촬영자가 조리개값을 변경하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셔터스피드를 변경해주고 S모드에서는 촬영자가 셔터스피드를 변경하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조리개값을 변경해준다. 촬영 상황에 맞는 모드를 선택해서 어느 한가지 값만 선택해주면 나머지는 자동으로 결정이 되는 것이다. 셔터스피드와 조리개값 모두를 촬영자가 스스로 결정하고 카메라는 아무것도 해주지 않는 모드를 완전 수동(매뉴얼) 모드, 흔히 M모



'포토 자료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미있는 사진을 만들기 위한 전제조건  (0) 2018.04.06
나의 좋은 여행사진 만들기  (0) 2018.04.06
하늘과 구름 사진촬영 기법  (0) 2018.04.06
구도와 구성  (0) 2018.04.06
[2018 봄] 사진 마스터  (0) 2018.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