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이미지

[스크랩] 눈 내린 쌍계사의 겨울 - 운주 님

妙有 李應鎬 2018. 7. 24. 19:48

눈 내린 쌍계사의 겨울//글,사진 - 운주 님

★ 눈 내린 쌍계사의 겨울 ★ 
쌍계사(雙磎寺)는 신라 성덕왕 21년(722년)
대비(大悲), 삼법(三法) 두 화상께서 지은 절입니다.

 

↓ 01) 쌍계사앞 점포에 설치되어있는 얼어버린 물레방아

 

↓ 02)

 

↓ 03)

 

↓ 04) 절 입구에있는 전각

 

↓ 05) 절 뒤로 올라가는 길

 

 ↓ 06) 절 계곡 가의 풍경

 

↓ 07) 일주문 -경남 유형문화재 제86호-

 

↓ 08) 일주문의 뒷모습

 

↓ 09) 금강문 -경남 유형문화재 제127호-

 

↓ 10) 금강문의 오른쪽

 

↓ 11) 천왕문앞 계곡에 놓인 외나무다리

 

↓ 12) 천왕문 -경남 유형문화재 제126호- 

 

↓ 13) 구층석탑
고산 스님이 스리랑카에서 모셔온 석가여래 진신사리 삼과와
산내 국사암 후불 탱화에서 출현한 부처님의 진신사리 이과
그리고 전단나무 부처님 일위가 모셔져있다.

 

↓ 14) 구층석탑의 상부

 

↓ 15) 구층석탑의 탑신

 

↓ 16) 팔영루에서 바라본 구층석탑

 

↓ 17) 팔영루 -경남 유형문화재 제74호-
팔영루는 통일신라 840년 진감선사가 세운 불교음악의 발상지이다.
진감선사가 섬진강에 뛰노는 물고기를 보고 여덟 음률로 된 범패(梵唄)인
어산(魚山)을 작곡했다고 하여 팔영루라 한다고 합니다.

 

↓ 18) 팔영루 앞 마당에서 본 천왕문과 금강문의 뒷모습

 

↓ 19) 대웅전, 석등, 진감선사대공탑비의 원경

 

↓ 20) 진감선사대공탑비 -국보 47호-
신라말의 진감선사 혜소의 덕을 기려 세운 비

 

↓ 21) 대웅전 -보물 500호-

 

↓ 22) 대웅전과 석등 -경남 유형문화재 제28호-

 

↓ 23) 대웅전에서 바라본 앞 풍경

 

↓ 24) 적묵당 -경남 유형문화재 제46호-
스님들이 기거하고 공부하는 요사채이다

 

↓ 25) 설선당 -경남 유형문화재 제153호-
스님들이 기거하고 공부하는 요사채이다

 

↓ 26) 나한전 -경남 유형문화재 제124호-

 

↓ 27) 화엄전

 

↓ 28) 마애불

 

↓ 29) 금강계단(金剛戒壇)

 

↓ 30) 삼성각

 

↓ 31) 명부전 -경남 유형문화재 제123호-

 

↓ 32) 마애불 -경남 유형문화재 제48호-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것으로 모습이
소박하여 부처라기 보다는 승려의 모습으로 생각된다고 합니다.

 

↓ 33) 범종루

 

 ↓ 34) 전각으로 오르는 계단

 

↓ 35) 전각의 일부

 

 

 

 




클릭☞ 눈 내린 쌍계사의 겨울 - 운주 님

 

출처 : 묘유의 집
글쓴이 : 이응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