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사진 촬영
[ 꽃사진 ABC]
1. 우선 싱싱한 꽃을 찾아야 한다(새벽 이슬과 함께 등)
-.꽃을 크로즈업 할 때는 상처 난 것, 벌레 먹은 것, 오그라든 것,
얼룩진 것은 피한다.
-. 흠이 없고 모양이 잘 갖추어진 꽃을 선정
2. 배경을 단순하게
-. 마이크로렌즈등을 이용 피사계심도를 얕게 배경을 흐리게
-. 망원계줌렌즈와 익스텐션 튜브사용
-. 클로즈업 렌즈나 벨로즈사용
3. 꽃이 화면을 크게 차지하도록 하고 부제는 약간 흐리면서 작게 보이게
4. 초점은 수동으로 꽃술이나 벌. 나비 등에 맞춘다
5. 노출은 약간 밝게 촬영하는 것이 기준이나 꽃의 색이나 광선에 따라 보정한다( 얇은꽃잎은
투과광 [역광]을 이용한다)
6. 장비: 마이크로렌즈. 소프트렌즈. 앵글파인더. 크로스필터. 익스텐 션튜브. 접사용 플래시.
바닥에 닿는 삼각대. 릴리즈. 반사 판. 바람막이. 검은 배경. 스프레이. 빨래집게. 조그만
가위. 깔판. 손거울. 콩자루등
1. 꽃을 카메라 화면 중앙부에 넣고 촬영하는 것을 피하라. 사진이 너무 단순하게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중앙부를 피해 여백의 미를 살려서 찍는 게 좋다.
2. 이른 아침 혹은 늦은 오후에 촬영하라. 한낮엔 너무 강한
빛으로 인해 하이라이트가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빛이 부드럽고 약한 이른 아침이나 늦은 오후에 촬영하는 것이 좋다.
3. 사람이 있는 봄꽃풍경을
찍자. 봄꽃과 함께 찍힌 어떤 이의 뒷모습은 사진 속에 이야기를 담아내며 느낌 있는 사진을 만들어
낸다.
분류 [ 촬영 목적에 따라 ]
1. 생태적( 도감적인) 사진-대부분 팬포커스 촬영(F16이상)
-. 꽃이 피어 있는 주변 환경이 포함되게 꽃 자체의 생태학적인 특징과 꽃피는 장소의 식물학적
생육 환경을 알고 접근
-. 외형적인 형태를 되도록 선명하게 표현, 꽃과 잎 줄기까지 실물 과 같아야
< 시기 > 가장 아름답고 싱싱하게 피었을 때
< 지식> 잎이나 줄기 꽃의 모양이나 색채에 관한 지식 필요
< 촬영> 꽃이 가장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각도
-. 꽃술에 초점을 맞추는게 일반이나 입체감 있는 원추리등은 심도미리보기 버튼을 보면서 조리개
를 조정 하든가 광각계 의 마이크로 렌즈(50mm)를 사용 한다
-. 바람에 주의 (멈추는 순간 빠른 셔터로, 때론 내장 및 접사용 플래시 사용/플래시는 평면적인
사진이 된다). 피부로 바람을 느끼는 정도에서는 1/60초 이하 속도면 흔들린다.
-. 한낮 땡볕 꽃 그림자는 반사판이나 거울, 구긴 호일을 사용(상시 휴대)
< 노출 보정 방법>
-. 넓은 배경에 작은 꽃 촬영
① 배경이 꽃보다 밝으면 + 보정하고 어두우면 - 보정한다.
② 반사광이 약한 적색이나 자색꽃과 어두운 배경의 비율이 많으면 꽃 노출은 over되므로 - 1 단
보정 한다.
-. 큰 꽃을 클로즈업 촬영시는 노출계 지시대로 촬영하면 무난하다.
< 칼라표현> 흰색,노란색,옅은 핑크색등 밝은색꽃은 흐린날이나
보슬비가 오는날이나 그늘에서 +1보정하여 촬영 한다.
< 렌즈> 100~300mm + 접사링 1호로 개방조리개 1m접근 촬영하면 배경 아웃처리가 좋다
2. 주관적인(창작적인 )사진--배경 아웃 포커스
-. 꽃에서 받는 느낌을 주관적으로 표현한다. 규칙에 속박되지 않고 사진가 자신의 개성과 창조력
을 자유롭게 구사한다.
-. 사진가의 감성을 이입하여 독창적이고 주관적인 감성을 발휘하는 사진
< 광선> 그때 그 장소에서의 광선이나 날씨를 최대이용.
하루 중 어느 때인지 .
-. 싱싱한 아침 햇살속의 이슬이 매달린 꽃이나 석양의 부드러운 광선에서 태양속의 꽃도 표현해
본다
-. 강렬한 꽃의 색을 표현하고 싶을 때 : 플래시나 반사판 이용
< 촬영> 주제를(피사체)를 고를 수 있는 시각을 기른다
-. 클로즈업에 같은색이 전체 화면이면 물방울 맺힌 부분을 촬영
-. 꽃을 하늘이나 강 호수 숲 바위 같은 배경과 함께 찍을 때
; 흐린날 콘트라스트가 약할 때 촬영
-. 생태학적으로도 촬영하고 창작적으로도 촬영
-. 같은 테마를 오랜 기간(여러번) 촬영해야 노하우가 생긴다.
-. 촬영시기 : 새벽부터 아침 10시경(이른아침-이슬) 까지 , 오후 3시부터 해질녘 까지
-. 크로스필터로 태양을 별 모양으로. 소프트필터로 뽀샤시하게
-. 팬 포커스 촬영-F11이상. 아웃포커스- f5.6 이하
※ 좋은 피사체 만나면 앵글각도와 촬영거리 바꿔가며 다양하게촬영
< 구도> 중앙에서 약간 비껴 촬영/부제를 흐릿하게 넣어 활용
-.부제 :주제를 돋보이게 만들기 위한 것. 주제에 비해 두드러지 거나 강한색채나 복잡한 형태,
강한 콘트라스트는 않된다
-.화면에 빛이 반사되는 부분을 넣으면 빛 번짐 효과(빛 방울) 표현
※ 카메라와 꽃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망원렌즈일수록 번짐링이 커진다. 숲속이나 나뭇잎사이
로 새어 나오는 빛을 배경으로 촬영시도 원형의 빛 망울이 생긴다.
< 하이키> 흰 배경( 수면이나 하늘을 향해 역광시 : +1.5~2이상 )
꽃색이 진한 경우( 능소화등)는 +2이상 보정
-. 흐린날이나 약하고 부드러운 광선에서 해야 색감이 산다
< 로우키> 어두운 배경/ 주제와 배경과의 명암차가 크면 - 보정
< 접사링> 1~3개 사용--> 2~3배 크기로 촬영 가능
1호 연결시 약 35mm 렌즈부터 근접 촬영 가능
※ 100mm 마이크로로 50cm 접근해서 촬영시 배경 흐려짐
< 물방울> 역광이나 배경이 주제보다 어두워야 효과
(물방울에 빛이 닿는 각도에서)
< 안개> 반드시 배경에 어두운 형체를 넣고 +보정 ,안개 가득한 하늘을 배경으로 실루엣 촬영
< 호수> 수면의 빛 반사를 넣거나 태양속에 꽃을 넣어(+1보정)노을질 때 광각렌즈로 하늘을 배경
으로
< 빛 > 역광이나 반역광
< 흐린날> 확산광으로 서정적 분위기
꽃이나 잎의 색깔을 실물과 가깝게 묘사(흰.노랑등 밝은색꽃의 질감이 좋다)
< 비오는날> 숲속이 젖어 질감이 좋고 싱싱하다
빗방울이 매달린 꽃 군생하는 꽃 (앵초 군락숲)
< 마음으로 찍는 사진 > 광선과 색채를 보는눈과 이들 요소를 어떻게 화면에 짜 넣는가 하는 구성
능력을 길러야
[ 고양시 주변의 촬영 장소 ]
가. 호수공원 주위의 다양한 꽃 들(꽃 전시회 출품작, 장미공원,철쭉, 연꽃 등)
나. 선인장 연구원
다. 서울대 약초원
라. 농협대
마. 종마목장
바. 서삼능과 서오능
사. 행주산성
아. 배밭 --- 꽃필 때
자. 삼각산, 심학산 등 주변 산
차. 강화도
카. 감곡 - 도화
※ 꽃사진은 자연의 소중함을 아는 사람. 모든 사라져가는 순간의 아름다움에 감동할 줄 아는 그런 마음을 가진 사람들의 작업 피사체라 봅니다.
'포토 자료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끼계곡 촬영법 (0) | 2018.04.06 |
---|---|
쨍한 풍경사진 8계명 (0) | 2018.04.06 |
[ 야경사진 ] (0) | 2018.04.06 |
[ 실루엣사진 (0) | 2018.04.06 |
1. 자외선 차단 필터 (0) | 2018.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