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쌈
이 그림에는 길쌈의 도구들이 자세히
나타나 있어 당시 서민의 생활사를 연구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화면은 2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단에는 베매기를 하는
여인의 모습이 보이고,
하단에는 베짜기를 하는 여인과 이를 지켜보는 할머니,
등에 업힌 아이,
서 있는 아이가 보인다. 익살스러운 단원의 필치가 엿보이는 것은 마치 뒤에 서 있는 할머니가 베 짜는 여자의
시어머니인 듯,
손자에게 시켜 며느리에게 뭔가 지시하고 있는 듯하다.
손자는 무슨 말을 하고 있을까? 아마
"엄마, 함니가 좀더 빨리 하래?" 눈치도 없이 이런 말을 한 건 아닐까?
행상
부부로 보이는 행상 가족의 모습이다.
당시 행상은 여러 지방을 돌아다니며
물품을 파는 상인을 말하는데 아무래도
돌아다니며 장사를 하다보니
행색이 남루하다.
낡은 벙거지에 나무통 지게를 진
남자와
광주리를 머리에 이고 아이를 업은 여인은 각자 행상을 떠나기
위해 헤어지려고 하고 있는 듯하다.
뭔가 아쉬움과 염려의 눈길로 아내에게 이런저런 당부를 하고 있는
남편과 몸조심하라고 여러 번 말하는 아내의 정이
느껴진다. 아이를 업고 저고리를 입은
엄마는
아이를 긴 행려에서 조금이나마 보호하려는 모심을 보이고 있고,
질끈 행전을 묶은 바지차림과 치마를 걷어올려 허리춤에 끈을 묶은
모습에서
노곤한 행려의 길을 떠나는 모습이 역력하다.

벼타작
쉴 새 없이 일하는 농부들의 숨가쁜 움직임이 그대로 묘사된
그림이다. 힘은 들지만 일 년 동안 애쓴 보람의 수확을 하는 이 순간 농부들의
얼굴에는 웃음이 만연하다. 한
짐 타작할 벼를 지게에 지고 오는 사내의 웃음 띤 얼굴, 벼를 힘껏 들어 올려 탁탁 치느라
얼굴에 힘이 들어간
남자의 표정, 바닥에 떨어진 알곡들을 쓸어 모으는 사람, 타작벼를 묶는 사람
모두 재미있다.
뒤에는 주인쯤 되보이는 양반이 돗자리에 비스듬히 누워 긴 곰방대를 물고
에헴~ 거드름을 피고 있다.
돋자리 옆에 놓인 술병과 잔, 벗어 놓은 고무신까지
단원의 세심한
관찰이 그대로 보인다.